2.1 정투상법
2.1.1 정투상법 소개
정투상법은 3차원 공간의 물체를 2차원 평면에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한 핵심적인 제도 기법입니다. 물체를 공간의 네 개의 면각 내에 배치하고, 투상면에 수직인 평행광선을 이용해 물체의 형상을 투영함으로써 정확한 치수와 비례를 그대로 유지합니다.
정투상법의 가장 큰 특징은 물체의 각 면을 직각으로 바라보는 시선을 설정하여, 왜곡 없이 물체의 정면, 측면, 평면 등을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 이 방식은 공학 및 제조 분야에서 표준적인 도면 표현 방식으로 채택되어 복잡한 형상의 제품이나 건축물도 정확하고 상세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주요 투상면:
- 입화면(정면도): 물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모습
- 측화면(측면도): 물체를 옆에서 바라본 모습
- 평화면(평면도): 물체를 위에서 내려다본 모습
2.1.2 제3각법 소개
제3각법은 물체를 제3면각 내부에 위치시키고 '관찰자 → 투상면 → 물체' 순서로 평행 투상하는 제도 방식입니다. 정면도를 중심으로 물체의 상하좌우 모습이 그대로 표현되어, 복잡한 구조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합니다.
한국의 산업 표준(KS)은 제3각법을 도면 작성의 기본 원칙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. 이 방법은 기계, 건축, 공학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며, 도면이나 그림을 통해 명칭과 배치를 확인할 수 있어 물체나 구조물의 세부 요소를 정밀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.
2.1.3 정투상법 연습 1(번호 채우기)
실습 활동 1: 제3각법으로 표현된 번호를 보고, 소마 퍼즐의 빈칸 번호를 적어봅니다.
실습 활동 2: 주어진 퍼즐에 대해 제3각법에 해당하는 퍼즐 조각의 번호를 적어봅니다.
실습 활동 3: 제3각법으로 표현된 번호를 보고, 남은 빈칸과 소마 퍼즐의 빈칸 번호를 적어봅니다.
실습 활동 4: 주어진 정면도를 나타낼 수 있는 소마 퍼즐 조합 두 가지를 제시합니다.
2.1.4 정투상법 연습 2(제3각법으로 나타내기)
실습 활동: 소마 퍼즐 조각을 2배 확대하여 제3각법으로 나타냅니다.
2.1.5 정투상법 연습 3(제3각법 도면보고 물체 만들기)
실습 활동: 주어진 정면도, 평면도, 우측면도를 보고 해당하는 물체를 만들어봅니다. 각 활동은 특정 소마 퍼즐 조각들을 사용합니다.
댓글 없음:
댓글 쓰기